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00

[자미두수] 자미두수 배우자 보는 법 (2. 별의 특징) 안녕하세요 월천입니다. 오늘은 배우자 보는 법 두번째 시간으로 부처궁에 들어가는 별에 따라 해석하는 법을 배워보려고 합니다. 물론 자세히 알고자 하면 길성과 흉성의 조합을 보며 그 변화를 자세히 판단해야 겠지만 자미두수에 대한 정보가 너무 적고 해석의 시작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모르는 분들도 많기에 이번에는 14 주성이 부처궁에 들어갈때의 대표적인 특징과 해석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려고 합니다. 1) 14주성은 기본적인 의미일 뿐 그 자체로 좋고 나쁨이 없다. 보통의 책들을 보면 14주성마다 좋고 나쁨의 의미가 나타나는데 이것은 편의상 붙여진 것이지 절대적인 기준은 아닙니다. 명리학에서도 상관과 칠살. 편인은 고전에서는 나쁜 의미가 부각이 되지만 현대사회에서는 각자의 특징을 살려서 살아가기에 그 뜻과 특징.. 2021. 10. 14.
[자미두수] 자미두수 배우자 보는 법 (1.궁의 역할) 자미두수의 강점이자 특징이 12궁으로 이루어졌고 삼방사정으로 각각의 궁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자세하게 풀이가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오늘은 그 중에서 배우자를 보는 법을 이야기해볼까 합니다. 1. 자미두수에서 배우자는 부처궁(夫妻宮)을 본다 자미두수에서 배우자는 부처궁을 통해서 알아보게 됩니다. 夫:사내 부 / 妻:아내 처 / 宮:집 궁 / 즉 남편, 아내를 알아보는 자리. 라는 뜻입니다. 자미두수는 별의 조합을 통해서 해당 궁이 뜻하는 의미를 파악하기에 부처궁에 어떤 별이 들어있는지가 1차적인 판단요소가 되고 그 후 삼방 (명리에서 삼합을 하는 자리의 궁) 과 대충궁 (명리에서 충을 하는 자리의 궁) 에 위치한 별들로 환경적인 영향력을 함께 보게 됩니다. 부처궁에 영향을 주는 삼합궁은 복덕궁 (정신세계.. 2021. 9. 29.
[자미두수] 자미두수와 명리학 (사주)는 대운의 나이가 서로 다르게 흘러갑니다. 자미두수 상담을 하다보면 명리를 공부하신 분들도 상담을 하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면 공통적으로 받는 질문이 있는데 바로 대운의 나이가 왜 다른지에 대한 질문을 받게 됩니다. 오늘은 그 문제에 대해서 글을 써보려고 합니다. 1. 명리의 대운과 자미두수의 대운 (대한) 나이는 서로 다른것이 맞습니다. 명리와 자미두수의 대운 나이는 서로 다르게 적용이 되어 명리를 공부하는 분들의 입장에서는 생소하고 무언가 잘못된것 같은 느낌이 들기 쉽습니다. 하지만 사주가 있고 그 법칙에 따라 사람이 살아가는 것이 아니라 사람이 있고 그 삶을 일정한 자연법칙에 따라 추리를 하는 것이 명리학 (사주학) 이라는 입장에서 바라보면 문제가 될 것이 없습니다. 명리학은 절기와 간지의 체계로 사람의 운명을 추론하게 되고 대운수를.. 2021. 9. 28.
[자미두수] 자미두수 무료 사이트 2개 추천드립니다. 자미두수가 어떤 것인지 모르시는 분들이 많기에 가볍게 친해질 수 있는 사이트를 추천드리려 합니다. 자미두수 무료 해석 사이트이고 자신의 기질과 특징에 대해서 알려주는 곳이니 참고가 되셨으면 합니다. 1. 김사주 사이트 자미두수의 명인 김구열 선생님이 운영하시는 곳이니다. 1)첫 페이지에서 화면을 아래로 내리면 " 내 인물 유형 알아보기 " 라는 메뉴가 나옵니다. 2)여기에 자신의 성별 / 생년월일시를 입력하면 명반과 함께 자신의 특징을 알려주는 도표. 3)명반이 나온 페이지에서 화면을 아래로 내리면 자신의 기질과 특징에 대한 풀이가 나오게 됩니다. http://kimsaju.com/ 2. 고산철학관 지금은 고인이 되신 고산 엄창용 선생님이 운영하셨던 사이트 입니다. 지금은 그 제자 되시는 분이 이어받아서.. 2021. 9. 26.
어떤 개운법[開運법]이 가장 좋을까? (개운법의 방식과 종류) 상담을 하다보면 개운법[開運法]에 대하여 요청을 하거나 질문을 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오늘은 그 개운법의 방식이나 중요한 포인트에 대하여 알아볼까 합니다. 1.개운법의 기본적인 방식에 대하여 개운법에도 여러가지 종류가 존재합니다. 우선 사주나 자미두수와 관련된 개운법에서는 각 술수의 특정한 패턴이나 형식에 맞추어 부족한 것을 보완하거나 좋은 기운을 불러오는 것을 목표로 오행이나 별에 해당하는 기운을 상징하는 물건. 색깔 또는 행동을 하여 운을 보충하고 보완하는 방식을 쓰게 됩니다. 풍수쪽으로 가면 비보풍수라고 하여서 역시 땅의 기운을 조절하는 것들을 방향에 배치하여서 운을 좋게 하는 방식을 취하게 되고 방향에 맞는 화초나 어항. 또는 두꺼비나 용의 형상을 한 석상이나 물건을 배치하는 경우가 해당이 됩니.. 2021. 9. 25.
자미두수의 연원과 이론체계 연구 - 고전격국을 중심으로- 논문소개입니다.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be54d9b8bc7cdb09&control_no=5e89a101252094d8ffe0bdc3ef48d419 요즘은 역학에 대한 학위논문도 많이 나오고 있는데 예전에 비해서 볼만한 논문들이 많아지고 있어서 시간이 날때마다 검색을 해보고 있습니다. 이번에 소개하고 싶은 논문은 자미두수의 고전격국에 대한 정리가 잘 되어있어서 공부하시는 분들에게 도움이 될까하여 소개드립니다. 위의 주소를 클릭하시면 해당 논문을 다운받을 수 있는 페이지로 이동되며 하단의 파란색 "원문보기" 버튼을 누르시면 논문을 열람하고 다운하실 수 있습니다. 1. 자미두수의 기본 이론과 역사를 잘 정리한 논문입니다. 사실 동양역술도 근원을.. 2021. 9. 24.